-
언스토퍼블 (2010) : 통제를 벗어난 일상이 주는 긴장감.본다/영화를 봤다 2010. 11. 29. 23:27언스토퍼블
Unstoppable, 2010
영화 초반, 이 영화는 실제 있었던 이야기를 바탕으로 구성되었다는 자막이 뜬다. 하지만 요즘은 워낙에 그런 영화가 많다보니 별로 놀라운 일이 아니다. 그냥 아아, 그렇군- 하고 무심코 넘기고 만다. 하지만, 영화가 중반 이상 진행되는 시점, 어쩐지 그 문구가 다시 떠올랐다. 그러니까, 이게 진짜 있었던 일이란 말이지? 그러자, 안 그래도 흥미진진하게 보고 있던 영화가 한층 더 오싹할 정도의 몰입을 하게 만든다.
그렇다. '언스토퍼블'은 실제 있었던 일을 바탕으로 한 '헐리우드 재난 영화'다. 바로 앞 문장에서 유추할 수 있을 법한 '지극히 뻔한 전개' 나 '평범한 영웅' 같은 거, 물론 나온다. 그게 헐리우드 재난 영화니까. 소재는 폭주하는 기차. 느슨한 철도 회사의 직원의 부주의로 일명 777로 불리는 기차가 기관사없이 달리기 시작한다. 엎친데 덮친격으로 그 기차에는 연료뿐 아니라 상당한 양의 페놀도 실려있다. 열차의 속도는 70마일 이상, 쉽게 말해 시속 100km 이상으로 윌(크리스 파인)이 나고 자란 도시를 향해 질주한다. 그리고 그 폭주하는 기차를 막을 '가능성'을 가지고 있는 것은 베테랑 기관사 프랭크(덴젤 워싱턴)과 입사 4개월차의 신참 윌 뿐이다. 뻔하지 않나. 이 영화가 어떻게 전개될런지는.
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영화, 엄청나게 집중하게 만들어주는 영화였다. 어떻게 전개될지, 심지어 어떻게 마무리될지조차 뻔히 눈에 보이는데도 흥미진진하게 볼 수 있었달까. 아무래도 속수무책으로 그저 경악하며 지켜볼 수 밖에 없는 천재지변과는 다르게 인간의 사소한 실수에서 비롯된 인재다보니 어떤 의미, 보다 공포스럽다. 게다가 그 대상이라는 것이 친숙한 일상 속에서 편리하게 이용하는 기차. 익숙해져 있기에 그것이 내재하고 있던 위험성이 드러나는 것은 꽤나 무서운 일이더라. 영화 속 대사처럼, 그냥 기차가 아니라 '미사일'이 되어있었다, 그 기차는. 게다가 그런 손쉽게 막아낼 수 없는 재앙을 앞에 둔 다양한 사람들의 다양한 선택들 또한 신경 쓰이지 않을 수 없었고.
프랭크 역의 덴젤 워싱턴.
윌 역의 크리스 파인.
여튼 좋았다, 이 영화.
'본다 > 영화를 봤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M (2007) : 이미지의 혼란 속에 빠져버리다. (4) 2010.12.05 렛 미 인 (2010) : 소년, 소녀를 만나다. (6) 2010.11.26 소셜 네트워크 (2010) : 페이스북의 시작에 대한 이야기를 하는 영화. (4) 2010.11.25